■ 스트리밍이란?

- 주로 음악이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식의 하나다.

-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를 진행함과 동시에 재생가능하다.

- 스트리밍 기술이 적용된 서비스의 예로는 Youtube, 아프리카 TV, IP TV 등이 있다.


■ 스트리밍 기술 요소

1. 멀티미디어 압축기술

2. 네트워크 기술(전송 및 제어)

3. QoS(서비스 향상 기술)


■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류

1. Progressive Download

- Progressive Download는 일반적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미디어 파일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이동시킨다.

- 사용자는 다운로드가 완료되기 전에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다. 
(
미디어 플레이어는 파일의 헤더에 위치한 메타데이타에 의존하여 Progressive Download의 재생을 할 수 있다.)


[Progressive Download의 송수신]

서버(위)는 전체 파일을 전송하며, 클라이언트(아래)는 서버가 전달해주는 전체 파일을 저장한다.

다운로드 받은 부분 내에서만 재생할 수 있다.


[Progressive Download의 장/단점]

■ 장점

- 구현이 쉽다.
 > 웹 서버에 업로드 후 클라이언트 측에 URL만 알려주면 된다


■ 단점

- 보안 문제
 > 전체 파일을 가져오는 방식이므로 유료 서비스에 적용 부적합(ex> 유투브 영상을 파일로 다운로드 프로그램)

- 네트워크 사용량이 많음
 > 시청한 만큼이 아닌 다운로드 받은 만큼의 네트워크 Tranffic을 사용한다.

- 비디오 품질 변경 불가
 > 다운로드 시작 중에는 비디오 품질을 변경할 수 없다


 ◆ 관련 서비스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영화, 뉴스 등의 영상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해두고, 원하는 때에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

  - 관련 상품 : Qook TV VOD 서비스, 인터넷 강좌 서비스 등


2. Adaptive HTTP Streaming

- 관련 표준으로는 MPEG-DASH(ISO/IEC 23009-1:2012;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DASH))가 있다.

- Adaptive HTTP Streaming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작은 조각들(몇 초에 해당하는..)로 나누는 동작을 한다.

- Player는 그 조각들을 이어 붙여 연속적인 stream으로 만든다.

[Adaptive HTTP Streaming의 송수신]

서버(위)는 미디어 파일을 몇 초 단위로 단편화 시킨다.

클라이언트(아래)는 단편화된 미디어 파일들을 받아 연속된 미디어 스트림으로 조합하여 재생에 사용한다.

- Adaptive HTTP Streaming이 RTMP/RTSP의 단점들을 많이 제거하였다. 하지만 표준화가 부족하다는 이슈가 존재한다.

- 왜냐하면, Adaptive HTTP Streaming은 하나가 아니다. Apple의 HLS(HTTP Live Streaming), Microsoft의 Smooth Streaming, Adobe의 Dynamic Streaming 그리고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표준이 있다.

- 또한, 일반적인 MP4 파일에서 동작하지 않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Adaptive HTTP Streaming들 모두는 일반적인 MP4 파일을 특별한 단편화된 포멧으로 변환시킨다. 각 공급자들은 이러한 변환 툴을 제공하지만 일반적인 비디오 에디터, 트랜스코딩 툴들은 아직 이런 포멧들을 지원하지 않는다.

[Adaptive HTTP Streaming의 장/단점]

■ 장점

- 네트워크 Traffic의 부하 분산
 > Progressive Download의 경우 파일 전체를 다운받는 동안 집중적으로 Traffic이 증가하며, Adaptive HTTP Streaming의 경우 Play Time동안 Play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기 때문에 Traffic이 분산됨.

- 네트워크 Traffic 감소
 > 불필요하게 시청중이지 않는 부분을 download받지 않음. 서버에 Traffic 부하를 줄여줌(절약).

■ 단점

- 표준화의 부족
 > 각 공급자(MS, Apple, Adobe 등) 마다 서로의 프로토콜이 존재

- 단편화된 파일/MP4 간의 변환 툴이 일반화되지 않음


◆ 관련 서비스

YouTube

  - 약 2013년 4월 이전에는 Progressive Download 방식으로 구현되었지만, 현재는 Adaptive HTTP Streaming 방식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Progressive Download 방식보다 현재 방식인 Adative HTTP Streaming 방식이 약 20초에 한번씩 Chunk를 요청하여 재생해주며 실제 시청한만큼의 Traffic만 소비하여 서버의 부하를 줄여준다.



■ 스트리밍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1. RTSP/RTP/RTCP

2. Adaptive HTTP Streaming

  1) HTTP Live Streaming(HLS, Apple 社)

  2) Smooth Streaming(Microsoft 社)

  3) HTTP Dynamic Streaming(Adobe 社)

  4)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DASH 또는 MEPG-DASH, ISO Standard)


■ 동영상 스트리밍 동향

소셜 네트워크 통합

YouTube는 정말 간단한 소셜 네트워크을 보여주는 사례다. 사용자가 서명만 하면 동영상 채널을 열 수 있고, 의견을 남기고 자신들의 홈페이지나 소셜 네트워크 계정으로 동영상을 임베디드 시킨다.

많은 연구에서 내리는 차세대 웹 제품이 지향하는 바는, 사용자가 자신만의 방송 목록을 만들고 거의 자동으로 그 목록에 맞춰 사용자 콘텍스트를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동영상 자원도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뿐만 아니라, 동영상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 모바일과 데스크탑 플랫폼, 스마트 TV 등에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 정의와 메타데이터의 자동 생성

축구 경기 혹은 좋아하는 음악 비디오 등에 사용자의 메타데이터(Metadata) - 예를 들어, 메모, 비디오 클립, 그리고 다른 미디어로 그 가치를 더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저장하거나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 즉, 최근의 솔루션은 사용자가 자신만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콘텐츠 검색과 이미지 인식

구글은 텍스트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하게 이미지를 이용해서 검색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동일한 방식의 기술이 동영상 콘텐츠에도 적용된다. 음성, 이미지, 텍스트 묘사와 같은 메타데이터는 별도 생성되어 영상 콘텐츠와 함께 연결된다. 이런 메타데이타로 사용자는 영상의 특정 장면에서 순간적으로 “장군이 명령한 그 내용은 바로….”와 같이 검색을 해서 해당 부분을 찾아 재생할 수 있다.


* 또한 SK플래닛에서는 IP TV에 클라우드와 스트리밍 기술을 융합한 Cloud Streamin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http://readme.skplanet.com/?p=5034)



출처

http://dg087.tistory.com/84

'Life > A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웃룩 메일 보내기 파일 삭제 시키는 방법  (0) 2016.10.27

용량이 너무 커서 보낸 편지함에 계속해서 남는 경우


메뉴

파일 - 오프라인으로 작업


도구 - 보내기/받기 - 보내기/받기 설정 - 보내기 받기 그룹정의


그룹 "모든 계정에" 대한 설정 부분에

체크 해제



편집 누르고 계정 옵션 부분에 체크 해제 후


보낸 편지함에서 진행중인 편지 삭제


'Life > A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류와 프로토콜  (0) 2016.11.18

+ Recent posts